김지신 아동청소년 상담센터
   
  [센터워크샵] 2021년 7월에 진행된 사회성치료의 임상적용 워크샵 참여소감 올립니다.
  글쓴이 : 상담센터     날짜 : 21-09-28 09:13     조회 : 4757    

‘사회성치료의 임상적용’ 워크샵 진행기간: 2021년 7/16, 7/23, 7/30, 8/13

참가하신 분: 박재희, 송은옥, 신미나, 양자행, 유지연, 이혜은, 조윤진, 최선희, 한교은선생님 

 

치료자와 개인적인 만남 가운데 보이는 모습과 집단 가운데 보일 수 있는 모습은 다를 수 있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아직 자신은 없지만 기회가 된다면 집단을 진행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회성' 이라는 개념의 범주가 생각보다 넓고 일상적인 부분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정보를 얻었던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집단을 진행한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었는데, 이번 강의가 집단 진행이라는 새로운 도전의 계기가 된 것 같습니다.

사회성 치료의 기본 개념부터 적용까지 폭넓게 배우게 된 것 같습니다. 집단 혹은 짝치료를 진행하게 된다면 적용해볼 수 있을 것 같아 좋았습니다.

개인상담으로 만나고 있는 아동의 경우, 부모상담을 통해 사회성이 부족한 부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그 정보에 의존해 상담을 진행하곤 했습니다. 사회성 프로그램을 들으며 이런 아이들과 집단상담을 진행한다면 치료사의 눈으로 아동이 어떤 부분을 어려워하는지 직접 볼 수 있고 그렇다면 좀 더 치료의 방향성에 도움이 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사회성 치료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는데 이번 워크샵을 통하여 두려움을 어느 정도 해소 할 수 있었습니다. 사회성에 대한 정의를 다시 생각해볼 수 있었고 치료의 방향성에 대해서 다시 한번 되돌아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인턴으로 사회성 향상 그룹을 경험하고 있던 경우여서 수업에서의 시간이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특히 발달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대해서 필요성과 방향성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되었으며, 기회가 된다면 사회성 그룹치료를 경험해보고 싶다고 생각했습니다.

사회성그룹을 어떻게 구성하고 어떻게 진행해가느냐를 구체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더 현실적이면서도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과 그룹에 대해 더 생각하고 고민해보게 되었습니다.

사회성을 목표로 하는 그룹을 구성할 때 어떠한 부분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지, 치료사로서 어떻게 이끌어가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